아르민 뮐러슈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민 뮐러슈탈은 독일의 배우로, 1930년 동프로이센 틸지트에서 태어났다. 동독에서 배우 활동을 시작하여 영화 《그녀의 세 번째》, 《거짓말쟁이 야곱》 등에 출연했으며, 1973년부터 1979년까지 동독 텔레비전 시리즈 《보이지 않는 감시경》에서 주연을 맡았다. 1976년 볼프 비어만의 국적 박탈에 항의하여 블랙리스트에 오른 후 1980년 서독으로 이주하여 국제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영화 《롤라》, 《베로니카 포스》, 《레들 대령》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했으며, 《우츠》로 베를린 국제 영화제 은곰상, 《샤인》으로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 《X파일》, 《천사와 악마》 등 할리우드 영화에도 출연했으며, 2011년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명예 황금곰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독에서 서독으로 이민간 사람 - 콘라트 슈만
콘라트 슈만은 1961년 베를린 장벽 건설 중 서베를린으로 탈출한 동독 군인으로, 냉전 시대의 상징이 되었으며, 이후 우울증을 겪다 1998년 자살했고, 그의 탈출 사진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 - 동독에서 서독으로 이민간 사람 - 토마스 크레치만
동독 국가대표 수영 선수 출신으로 서독으로 망명 후 배우로 전향한 토마스 크레치만은 유럽 영화와 텔레비전 시리즈에서 활동하며 막스 오퓔스 상을 수상했고, 제3제국 배경 영화의 군인 역할,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택시운전사》 등의 다양한 작품을 통해 국제적인 인지도를 얻었으며, 시체스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와 부천판타스틱영화제에서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독일 배우이다. - 동프로이센 출신 - 게오르크 스테르진스키
독일 가톨릭 추기경이자 베를린 대교구장이었던 게오르크 스테르진스키는 동프로이센 출신으로 사제 서품 후 베를린 교구장을 거쳐 추기경으로 서임되었으나, 동성 결혼에 대한 비판적 견해와 건강 악화로 대주교직에서 사퇴 후 사망하여 독일 가톨릭 교회에 영향을 미쳤다. - 동프로이센 출신 - 발터 풍크
발터 풍크는 나치 독일의 경제 관료로서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유대인 재산 몰수에 관여하고 경제 전권 대사, 경제 국무장관, 국립 은행 총재 등을 역임했다. - 베를린 영화제 은곰상 남우주연상 수상자 - 폴 뉴먼
폴 뉴먼은 1925년에 태어나 2008년에 사망한 미국의 배우, 영화 감독, 사업가, 자선가이며, 56년간 60여 편의 영화에 출연하고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상했으며, 식품 브랜드 설립 및 자선 활동을 펼쳤다. - 베를린 영화제 은곰상 남우주연상 수상자 - 톰 행크스
톰 행크스는 미국의 배우, 감독, 제작자, 각본가로서, 1980년대 코미디 영화로 스타덤에 오른 후 《필라델피아》와 《포레스트 검프》로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두 차례 수상하고 다양한 흥행작 출연 및 미니시리즈 제작 참여, 그리고 대통령 자유훈장과 골든 글로브 세실 B. 데밀 상 등을 수상하며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아르민 뮐러슈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아르민 뮐러슈탈 |
출생일 | 1930년 12월 17일 |
출생지 | 틸지트, 동프로이센, 독일 (현재 소베츠크, 러시아) |
국적 | 독일 |
직업 | 배우 |
활동 기간 | 1956년–2015년 |
배우자 | 가브리엘레 숄츠 |
수상 |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은곰상 (남자 배우상) 1992년 마이센 환영 명예 황금곰상 2011년 |
지니상 | 조연 남우상 2008년 이스턴 프라미스 |
주요 작품 |
2. 생애
동프로이센 틸지트 (현재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 소베츠크)에서 태어났다.[2][1] 십 대 시절에는 바이올린을 연주했으나, 20세 무렵 동독에서 배우로 전향하여 동베를린의 연기 학교에 입학했다.[2] 동독 시절에는 인기 배우로 명성을 얻으며 80편이 넘는 영화에 출연했지만, 1976년 볼프 비어만의 국적 박탈에 항의하면서 정부의 블랙리스트에 올랐다. 결국 1980년 서독으로 이주했다.[8][2] 서독 망명 이후 《베로니카 포스》(1982), 《독일에서의 사랑》(1984) 등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했으며, 이후 할리우드 영화에도 진출하여 《아발론》(1990), 《샤인》(1996) 등으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1992년 《우츠》로 베를린 국제 영화제 남우주연상을 수상했고, 《샤인》으로는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후보에 오르며 연기력을 인정받았다.
2. 1. 초기 생애 (1930-1952)

뮐러슈탈은 동프로이센 틸지트 (현재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 소베츠크)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 에디타는 상류층 출신으로 라이프치히 대학교 교수가 되었고, 아버지 알프레트 뮐러는 은행원이었으며 가족의 성을 "뮐러슈탈"로 변경했다.[2][1] 제2차 세계 대전 중 아버지가 동부 전선에서 싸우는 동안, 나머지 가족들은 베를린으로 이주했다.[2] 뮐러슈탈은 십 대 시절 콘서트 바이올리니스트였으며, 1952년 동베를린의 연기 학교에 입학하며 배우의 길로 들어섰다.[2]
2. 2. 동독 시절 (1952-1980)
동독 출신의 아르민 뮐러슈탈은 원래 10대 시절 바이올린을 연주했으나, 20세 무렵 배우로 전향했다. 그는 동베를린에서 음악 교사 등으로 생계를 유지하며 1970년대 후반까지 무대 배우로 활동했다. 온화하고 지적인 개성 덕분에 동독 시절 인기 배우로 명성을 떨쳤으며, 80편이 넘는 영화에 출연했다.그는 동독의 영화 및 연극 배우로서 영화 《그녀의 세 번째》, 《거짓말쟁이 야곱》 등 다수의 작품에 출연했다. 또한, 1973년부터 1979년까지 동독 텔레비전의 인기 시리즈 《보이지 않는 감시경》에서 주인공을 연기했다. 이 시리즈는 동독의 비밀경찰인 슈타지와 협력하여 제작되었으며, 서방의 제임스 본드 영화에 대항하기 위해 기획된 스파이 스릴러 프로그램이었다.
그러나 1976년, 가수 겸 시인 볼프 비어만의 국적 박탈 조치에 항의하면서 정부의 블랙리스트에 오르게 되었다. 이로 인해 반체제 인사로 낙인찍혀 약 2년간 배우 활동에 제약을 받았다. 결국 1980년 서독으로 이주하게 되었다.[2][8]
2. 3. 서독 망명과 국제적 활동 (1980-현재)
1976년 동독의 가수 겸 시인 볼프 비어만의 국적 박탈 조치에 항의하면서 정부의 블랙리스트에 올랐다. 이로 인해 활동에 제약을 받다가 1980년 서독으로 이주했다.[2][8]서독으로 이주한 후 곧바로 영화 활동을 재개하여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감독의 《롤라》(1981)와 《베로니카 포스》(1982), 안제이 바이다 감독의 《독일에서의 사랑》(1984) 등에 출연하며 연기 경력을 이어갔다. 또한 아카데미 국제 작품상 후보에 오른 헝가리-서독 합작 영화 《레들 대령》(1985)과 《분노의 수확》(1985), 미하엘 엔데 원작의 영화 《모모》(1986) 등 유럽의 주요 작품에 출연하며 국제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987년에는 ABC의 텔레비전 미니시리즈 《아메리카》에서 점령된 미국을 통치하는 소련 장군 역을 맡았고, 1989년 영화 《뮤직 박스》에서 제시카 랭이 연기한 주인공의 아버지 역할로 미국 영화계에 데뷔했다. 이듬해 출연한 《아발론》(1990)에서는 미국으로 이주한 유대인 가장 역할을 맡아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다. 이후 스티븐 소더버그의 《카프카》(1991)와 짐 자무쉬의 《지구 위의 밤》(1991) 등에 조연으로 출연했다.

1992년 영화 《우츠》에서의 연기로 제4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은곰상 남자연기자상을 수상하며 연기력을 입증했다.[3] 1996년에는 영화 《샤인》에서 피아니스트 데이비드 헬프갓의 학대하는 아버지 역을 맡아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후보에 오르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같은 시기 《방화범의 사랑 이야기》(1995), 시드니 루멧 감독의 리메이크 영화 《12인의 성난 사람들》(1997), 《X파일》(1998), 《순례자》(1999) 등 다양한 장르의 영화에 출연했으며, 1996년에는 《야수와의 대화》를 통해 감독으로 데뷔하기도 했다.
2000년대 들어서도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다. 독일 미니시리즈 《디 만스 - 아인 야흐르훈데르트로만》에서 작가 토마스 만을 연기해 호평을 받았고, 2004년에는 미국 드라마 《웨스트 윙》에 이스라엘 총리 역으로 4개 에피소드에 특별 출연했다.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감독의 《이스턴 프라미스》(2007)와 스릴러 영화 《인터내셔널》(2009)에서는 악역을 연기했으며, 두 작품 모두 나오미 와츠와 함께 출연했다. 《이스턴 프라미스》에서의 연기로 2008년 캐나다의 지니상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2009년에는 영화 《천사와 악마》에서 스트라우스 추기경 역을 맡았다.
2011년 제61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공로를 인정받아 명예 황금곰상을 수상했다.[4] 또한, 프레야 폰 몰트케 재단의 활동을 지지하며 사회적인 활동에도 참여하고 있다.[5]
3. 주요 출연 작품
(내용 없음)
3. 1. 영화
뮐러슈탈은 동독의 영화 및 연극 배우였으며, 영화 《그녀의 세 번째》(1972), 《거짓말쟁이 야곱》(1974) 등에 출연했다. 그는 동독 텔레비전에서 1973년부터 1979년까지 인기 시리즈 《보이지 않는 감시경》의 주인공을 연기했는데, 이 시리즈는 동독의 비밀경찰인 슈타지와 협력하여 제임스 본드 영화에 대항하기 위해 기획된 스파이 스릴러 프로그램이었다. 1976년 가수 볼프 비어만의 동독 시민권 박탈에 항의한 후 정부에 의해 활동에 제약을 받는 블랙리스트에 올랐다. 결국 1980년 서독으로 이주했다.[2]서독으로 이주한 후에도 꾸준히 영화 활동을 이어갔다.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감독의 《롤라》(1981)와 《베로니카 포스》(1982), 안제이 바이다 감독의 《독일에서의 사랑》(1984), 아그네츠카 홀란트 감독의 《분노의 수확》(1985), 그리고 아카데미 국제영화상 후보에 오른 이슈트반 서보 감독의 《레들 대령》(1985) 등이 대표적이다. 《레들 대령》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군 장교 알프레드 레들을 둘러싼 실제 스캔들을 다룬 영화이다.
1987년에는 미국 ABC의 텔레비전 미니시리즈 《아메리카》에서 소련에 점령된 미국을 통치하는 장군 역을 맡았다. 1989년 영화 《뮤직 박스》에서 제시카 랭이 연기한 주인공의 아버지 역으로 미국 영화계에 데뷔했으며, 1990년에는 《아발론》에서 미국으로 이주한 유대인 가장 역할을 맡아 폭넓은 호평을 받았다. 이후 스티븐 소더버그 감독의 《카프카》(1991)와 짐 자무쉬 감독의 《지상의 밤》(1991) 등에서 인상적인 조연 연기를 선보였다.
뮐러슈탈은 영화 《우츠》(1992)에서의 연기로 제4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은곰상 남자연기자상을 수상했다.[3] 1996년에는 영화 《샤인》에서 피아니스트 데이비드 헬프갓의 학대하는 아버지 역을 맡아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후보에 올랐다. 또한 《방화범의 사랑 이야기》(1995)와 1997년 리메이크 영화 《12인의 성난 사람들》에도 출연했다. 1996년에는 《야수와의 대화》를 통해 감독으로 데뷔하기도 했다. 1998년에는 영화 《X파일》에서 독일 과학자이자 비밀 조직 '신디케이트'의 일원인 콘라드 스트루홀드를 연기했다. 1999년에는 《순례자》(다른 제목: 인페르노)에서 레이 리오타, 글로리아 루벤과 함께 범죄 조직 두목으로 출연했다.
2000년대 초반에는 독일 미니시리즈 《토마스 만》(Die Manns – Ein Jahrhundertromande) (2001)에서 작가 토마스 만을 연기하여 호평을 받았다. 2004년에는 미국 텔레비전 드라마 《웨스트 윙》에 4개의 에피소드에 걸쳐 이스라엘 총리 역으로 특별 출연했다. 2006년에는 《로컬 컬러》에서 외톨이 러시아 예술가 니콜라이 세로프 역을 맡았다. 데이비드 크로넨버그 감독의 범죄 드라마 《이스턴 프라미스》(2007)와 스릴러 영화 《인터내셔널》(2009)에서는 악역을 연기했으며, 두 영화 모두 나오미 와츠와 함께 출연했다. 《이스턴 프라미스》에서의 연기로 2008년 캐나다의 지니상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2009년에는 영화 《천사와 악마》에서 추기경단 단장이자 콘클라베를 주재하는 스트라우스 추기경 역을 연기했다.
2011년, 그는 제61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 평생의 공로를 인정받아 명예 황금곰상을 수상했다.[4]
뮐러슈탈은 프레야 폰 몰트케 재단의 활동을 지지하며 베를린과 폴란드의 크지조바(Krzyżowa)에서 열리는 행사에 참여해왔다.[5]
'''주요 출연작'''
연도 | 제목 (원제) | 배역 | 비고 |
---|---|---|---|
1963 | 헐벗은 늑대 무리 속에서 (Nackt unter Wölfende) | 안드레 회펠 | |
1974 | 거짓말쟁이 야곱 (Jakob der Lügnerde) | 로만 슈탐 | |
1981 | 롤라 (Lolade) | 폰 보엠 | |
1982 | 베로니카 포스 (Die Sehnsucht der Veronika Vossde) | 막스 레바인 | |
1985 | 레들 대령 (Oberst Redlde) |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 | 아카데미 국제영화상 후보작 |
1985 | 분노의 수확 (Bittere Erntede) | 레온 볼니 | 아카데미 국제영화상 후보작 |
1985 | 모차르트를 잊어라 (Vergeßt Mozartde) | 페르겐 백작 | |
1986 | 모모 (Momode) | 회색 신사들의 두목 | |
1988 | 미드나잇 캅 (Killing Bluede) | 알렉스 글래스 경감 | |
1989 | 뮤직 박스 (Music Box영어) | 마이크 라즐로 | |
1990 | 아발론 (Avalon영어) | 샘 크리친스키 | |
1991 | 지상의 밤 (Night on Earth영어) | 헬무트 그로켄베르거 | |
1991 | 카프카 (Kafka영어) | 그루바흐 | |
1992 | 우츠 (Utz영어) | 카스파르 요아힘 폰 우츠 남작 | 베를린 국제 영화제 은곰상 남자연기자상 수상 |
1992 | 파워 오브 원 (The Power of One영어) | 닥 | |
1993 | 영혼의 집 (The House of the Spirits영어) | 세베로 델 바예 | |
1994 | 홀리 매트리모니 (Holy Matrimony영어) | 빌헬름 | |
1995 | 방화범의 사랑 이야기 (A Pyromaniac's Love Story영어) | 린저 씨 | |
1996 | 샤인 (Shine영어) | 피터 헬프갓 | 아카데미 남우조연상 후보 |
1996 | 야수와의 대화 (Conversation with the Beast영어) | 아돌프 히틀러 | 감독, 각본, 주연 |
1997 | 12인의 성난 사람들 (12 Angry Men영어) | 배심원 4번 | TV 영화 |
1997 | 더 게임 (The Game영어) | 앤슨 베어 | |
1997 | 피스메이커 (The Peacemaker영어) | 드미트리 베르티코프 | |
1998 | X파일 (The X-Files영어) | 콘라드 스트루홀드 | |
1999 | 13층 (The Thirteenth Floor영어) | 해논 풀러 / 그리어슨 | |
1999 | 세 번째 기적 (The Third Miracle영어) | 베르너 | |
1999 | 거짓말쟁이 야곱 (Jakob the Liar영어) | 키르슈바움 박사 | |
1999 | 예수 (Jesus영어) | 요셉 | TV 영화 |
2000 | 미션 투 마스 (Mission to Mars영어) | 레이미 백 | 크레딧 없음 |
2001 | 크로시아티 (Crociatiit) | 알레시오 | TV 영화 |
2001 | 더 롱 런 (The Long Run영어) | 베르톨드 배리 뵈머 | |
2004 | 더스트 팩토리 (The Dust Factory영어) | 랜돌프 할아버지 | |
2006 | 로컬 컬러 (Local Color영어) | 니콜라이 세로프 | |
2006 | 나는 다른 여자다 (Ich bin die Anderede) | 카를 빈터 | |
2007 | 이스턴 프라미스 (Eastern Promises영어) | 세묜 | 지니상 남우조연상 수상 |
2008 | 부덴브루크가의 사람들 (Buddenbrooksde) | 요한 장 부덴브로크 | |
2009 | 인터내셔널 (The International영어) | 빌헬름 벡슬러 | |
2009 | 천사와 악마 (Angels & Demons영어) | 스트라우스 추기경 | |
2009 | 레닌그라드 (Leningrad영어) | 빌헬름 리터 폰 레프 | |
2015 | 나이트 오브 컵스 (Knight of Cups영어) | 차이트링거 신부 |
3. 2. 텔레비전
뮐러슈탈은 동독 시절 텔레비전에서도 활발하게 활동했다. 1973년부터 1979년까지 동독 텔레비전에서 방영된 인기 스파이 스릴러 시리즈 《보이지 않는 감시경》(Das unsichtbare Visier)에서 주인공 베르너 브레데부쉬(Werner Bredebusch) 역을 맡았다. 이 시리즈는 슈타지와 협력하여 제작되었고, 서구의 제임스 본드 영화에 대응하는 성격의 프로그램이었다. 하지만 1976년 가수 볼프 비어만의 국적 박탈에 항의한 후 동독 정부에 의해 블랙리스트에 올라 활동에 제약을 받았다. 결국 그는 1980년 서독으로 이주했다.[2]서독으로 이주한 후에도 그의 텔레비전 활동은 계속되었다. 1987년에는 ABC의 텔레비전 미니시리즈 《아메리카》에서 소련에 의해 점령된 미국을 통치하는 소련 장군 페탸 사마노프(Petya Samanov) 역을 연기했다. 1997년에는 TV 영화 《내 원수의 면전에서》에서 랍비 아담 헬러 역을, 같은 해 리메이크된 TV 영화 《12인의 성난 사람들》에서는 배심원 4번 역을 맡았다. 1999년에는 TV 영화 《예수》에서 요셉 역으로 출연했다.
2001년에는 독일 TV 미니시리즈 《만 가족 – 한 세기의 로망》(Die Manns – Ein Jahrhundertroman)에서 작가 토마스 만을 연기하여 좋은 반응을 얻었다. 2004년에는 미국 텔레비전 드라마 《웨스트 윙》의 4개 에피소드에 이스라엘 총리 에프라임 '엘리' 자하비(Ephraim 'Eli' Zahavy) 역으로 특별 출연했다.
4. 수상 경력
연도 | 시상식/기관 | 수상 내역 |
---|---|---|
1992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은곰상: 남자배우상 (제42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
1997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베를리날레 카메라 (제47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6] |
2007 | 지니상 | 남우조연상 |
2008 | 독일 연방 공화국 | 독일 연방 공화국 공로 훈장 기사 십자 훈장, 별이 있는 대십자 훈장 |
2010 |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 명예 시민 |
2011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명예 황금곰상 (제61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
2011 | 소베츠크 | 명예 시민[7] |
2015 | 취리히 영화제 | 공로상 |
참조
[1]
뉴스
Shining through the darkness
https://pqasb.pqarch[...]
Jerusalem Post
2009-12-08
[2]
뉴스
Emerging from Behind the Iron Curtain, Armin Mueller-Stahl Finds Freedom-and Stardom in Avalon
http://www.people.co[...]
People Magazine
2009-12-08
[3]
웹사이트
Berlinale: 1992 Prize Winners
http://www.berlinale[...]
2011-05-29
[4]
웹사이트
Berlinale 2011: The Honorary Golden Bear
http://www.berlinale[...]
2010-12-26
[5]
웹사이트
Freya :: Schirmherr und Gremien / Kuratorium - Kuratorium
http://www.fvms.de/d[...]
2014-10-05
[6]
웹사이트
Berlinale: 1997 Prize Winners
http://www.berlinale[...]
2012-01-14
[7]
뉴스
Armin Mueller-Stahl Ehrenbürger seiner Heimatstadt
http://www.berliner-[...]
Berliner Zeitung
2011-12-08
[8]
뉴스
Emerging from Behind the Iron Curtain, Armin Mueller-Stahl Finds Freedom-and Stardom in Avalon
http://www.people.co[...]
People Magazine
2009-1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